튼튼정보

고환염전 증상 및 치료

strongdori 2025. 1. 31. 21:30


1. 고환염전의 정의


고환염전(Testicular torsion)은 고환을 지지하고 혈관, 신경, 림프관을 포함한 정삭이 꼬이면서 고환으로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고환 조직이 손상되고,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괴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발생 연령
• 청소년기: 가장 흔히 발생하며, 특히 12~18세 사이의 남성에서 빈도가 높음.
• 신생아 및 영아기: 드물게 발생하지만 이 연령대에서도 보고됨.

 

2. 고환염전의 원인

 

고환염전의 정확한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다음 요인들이 연관될 수 있습니다.

해부학적 요인
1) 벨크래퍼 변형(Bell-Clapper Deformity)
• 고환이 음낭에 정상적으로 고정되지 않아 정삭이 쉽게 꼬일 수 있는 구조적 문제.
2) 음낭 근육 과도한 수축
• 추운 날씨, 신체적 활동, 또는 급격한 움직임에 의해 음낭 근육(고환거근)이 수축하면서 고환이 꼬일 가능성이 높아짐.

기타 요인
• 외상 또는 충격.
• 심한 기침이나 격렬한 운동.
• 수면 중 발생(특히 자는 자세와 연관).

출처 보건복지부

3. 고환염전의 증상


고환염전은 응급 상황으로, 증상을 조기에 인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요 증상
1) 갑작스럽고 극심한 고환 통증
• 한쪽 고환에 집중되며, 대개 통증이 시작된 후 점점 심해짐.
2) 고환 부종 및 발적
• 고환이 부어오르며 피부색이 붉거나 푸르게 변할 수 있음.
3) 구역질 및 구토
• 통증으로 인해 위장관 증상이 동반되기도 함.
4) 음낭 비대칭
• 고환이 비정상적으로 높이 올라간 상태로 만져짐.

신생아 및 영아의 증상
• 음낭이 부풀거나 단단해짐.
• 명확한 통증 호소는 어렵지만 보채거나 불안한 행동을 보임.

 

4. 고환염전의 진단

조기 진단은 고환을 보존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병력 청취 및 신체검사
• 갑작스러운 통증 발현 시간과 통증 양상을 확인.
• 고환의 위치와 움직임을 촉진하여 비정상적인 위치나 고정을 확인.

영상 검사
1) 도플러 초음파
• 고환으로의 혈류 감소를 확인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2) 핵의학 검사(Scintigraphy)
• 혈류 상태를 더 정밀히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함.

차별 진단
• 부고환염(Epididymitis), 고환염, 고환 종양과의 감별이 중요.

 

출처 서울아산병원


5. 고환염전의 치료

고환염전은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응급 상황입니다. 치료는 고환의 혈액 공급을 신속히 복원하고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수술적 치료
1) 응급 고환 고정술(Orchiopexy)
• 꼬인 정삭을 풀고 고환을 음낭 내부에 고정.
• 대개 양측 고환 모두를 고정하여 재발을 방지.
2) 고환 제거술(Orchiectomy)
• 고환 괴사로 인해 복원이 불가능한 경우 시행.

비수술적 치료
• 일부 초기 단계에서는 전문의에 의해 손으로 고환을 정상 위치로 돌리는 도수 정복(Manual detorsion)이 시도될 수 있으나, 이는 임시 조치에 불과하며 반드시 수술로 이어져야 함.

 

출처 골드만 비뇨의학과


6. 고환염전의 합병증

1) 고환 괴사
• 혈류 차단이 6시간 이상 지속되면 고환 조직이 괴사하여 기능을 상실.
2) 불임
• 한쪽 고환 손실이 생식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음.
3) 재발 위험
• 적절히 치료하지 않을 경우 재발 가능성이 있음.
4) 심리적 영향
• 특히 청소년의 경우, 고환 손실로 인해 심리적 스트레스와 자존감 저하를 경험할 수 있음.

 


7. 고환염전의 예방

1) 조기 진단과 치료
• 통증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방문.


2) 벨크래퍼 변형에 대한 예방적 수술
• 고환 고정술로 해부학적 문제를 사전에 교정.


3) 과도한 음낭 자극 회피
• 격렬한 운동이나 외부 충격을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