튼튼정보

잠복고환 증상 및 치료

strongdori 2025. 1. 31. 23:00


1. 잠복고환의 정의 및 종류

잠복고환은 고환이 태아 발달 과정에서 음낭으로 내려오는 데 실패한 상태입니다. 고환은 정상적으로 태아기 동안 복부에서 형성되어 음낭으로 이동합니다. 이 과정이 중단되거나 실패하면 잠복고환이 발생합니다.

종류
1) 진정 잠복고환(True undescended testis)
고환이 복강, 서혜부 또는 음낭의 상부에 위치하여 손으로 만질 수 없습니다.


2) 기능적 고환 이소증(Ectopic testis)
고환이 음낭 외부의 비정상적인 위치(예: 대퇴부, 회음부 등)에 위치합니다.


3) 고환퇴행증(Ascending or retractile testis)
고환이 일시적으로 서혜부로 올라가지만, 손으로 음낭으로 내려보낼 수 있습니다. 이는 치료가 필요 없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2. 잠복고환의 원인

잠복고환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관여할 수 있습니다.

호르몬적 요인
• 태아기 동안의 테스토스테론 부족.
• 황체형성호르몬(LH)과 난포자극호르몬(FSH)의 이상.

유전적 요인
•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잠복고환 발생과 연관될 수 있음.
• 가족력(특히 형제에서의 잠복고환 발생).

환경적 요인
• 임신 중 흡연, 음주, 약물 복용, 또는 환경 호르몬(내분비계 교란물질)의 노출.
• 저체중아 및 조산아에서 발생 위험 증가.

 


3. 잠복고환의 증상

주요 증상
• 음낭의 비대칭: 한쪽 또는 양쪽 음낭이 평평하거나 고환이 만져지지 않음.
• 통증 없음: 대부분의 경우 초기에는 통증이 없으나, 나중에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음.

발생 빈도
• 만삭 출생아: 약 3~5%에서 잠복고환 발생.
• 조산아: 20~30%에서 발생 가능.

출처 질병관리청


4. 잠복고환의 진단

병력 청취
• 출생 당시 음낭의 상태와 고환 위치에 대한 확인.
• 가족력과 임신 중 위험 요인 평가.

신체검사
• 음낭, 서혜부, 복부를 촉진하여 고환 위치 확인.

영상 검사
1. 초음파(USG): 고환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됨.
2. MRI 또는 CT: 복부 깊은 곳에 위치한 고환을 확인하기 위한 정밀 검사.
3. 호르몬 검사: 테스토스테론 분비 여부를 평가.


5. 잠복고환의 치료

잠복고환은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 불임, 암 발생 등의 합병증 위험이 높아집니다. 치료는 고환을 음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치료 시기
•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1세 사이에 치료가 권장됩니다. 1세 이후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 위험이 증가합니다.

치료 방법
1) 호르몬 요법
•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고환을 음낭으로 이동시키도록 자극.
• 효과는 제한적이며, 수술 전 보조 치료로 사용되기도 함.
2) 수술적 치료
• 고환 고정술(Orchiopexy): 고환을 음낭으로 이동시키고 고정하는 수술.
• 성공률이 높으며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

출처 보건복지부


6. 잠복고환의 합병증

치료가 지연되거나 방치될 경우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불임
• 고환의 높은 온도는 정자 생성을 방해하여 생식 능력에 악영향을 미침.
• 양측성 잠복고환(두 고환 모두 잠복)의 경우 불임 위험이 더 큼.

2) 고환암(Testicular Cancer)
• 고환암 위험이 정상 고환에 비해 약 3~8배 증가.
• 치료 후에도 위험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으므로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

3) 탈장 및 비틀림
• 고환과 관련된 서혜부 탈장이 동반될 수 있음.
• 고환의 위치가 비정상적일 경우 고환 비틀림(고환 꼬임) 위험 증가.

4) 심리적 영향
• 성장기 남아에서 음낭의 비대칭이나 고환의 부재는 심리적 위축감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음.


7. 예방과 관리

임신 중 관리
• 흡연, 음주, 약물 복용을 피하고 균형 잡힌 영양 섭취.
• 환경 호르몬 노출을 줄이는 생활 습관.

출생 후 조기 진단
• 소아과에서의 신생아 검진 중 음낭 상태 확인.
• 정기적 자가검진 및 전문의 상담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