튼튼정보

배설성 요로조영 검사(IVP, Intravenous Pyelography) 검사 방법 및 해석

strongdori 2025. 2. 5. 21:08

 

출처 질병관리청

1. 개요

배설성 요로조영 검사(IVP, Intravenous Pyelography)는 조영제를 정맥에 주입한 후, 신장과 요로계(요관, 방광, 요도)의 형태 및 기능을 평가하는 방사선 검사 방법이다. 이 검사는 요로결석, 종양, 감염, 기형 등의 진단에 사용된다.

2. 검사 원리

정맥으로 주입된 조영제가 혈류를 통해 신장으로 도달하고 사구체 여과를 거쳐 요로를 따라 배설되는 과정을 X-ray 촬영을 통해 확인하는 방식이다. 조영제는 신장, 요관, 방광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검사 준비

  1. 검사 전 금식: 검사 6~8시간 전부터 음식과 음료 섭취를 제한하여 장 내 가스를 줄이고 방광이 명확하게 보이도록 한다.
  2. 장 정결제 복용: 필요 시 하제를 복용하여 장내 가스를 줄인다.
  3. 알레르기 확인: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여부를 미리 확인하며,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경우 사전 조치(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투여)를 한다.
  4. 신장 기능 검사: 조영제가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신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혈중 크레아티닌(BUN, Creatinine)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5. 임산부 여부 확인: 방사선 노출로 인한 태아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임산부는 검사 전 의료진과 상담해야 한다.

4. 검사 과정

  1. 준비 단계
    • 환자는 검사복으로 갈아입고 금속 물질(벨트, 액세서리 등)을 제거한다.
    • 검사대에 누운 상태에서 초기 단순 복부 X-ray 촬영을 시행한다.
  2. 조영제 주입
    • 요오드 기반 조영제를 정맥 주사로 투여한다.
    • 조영제 주입 후, 환자는 온기나 금속성 맛을 느낄 수 있다.
    • 일부 환자는 메스꺼움, 두드러기 등의 가벼운 부작용을 경험할 수 있다.
  3. X-ray 촬영 단계
    • 조영제 주입 후 5분, 10분, 15분 등의 시간 간격으로 X-ray 촬영을 수행한다.
    • 촬영을 통해 신장 실질의 기능과 요관, 방광의 형태 및 조영제 배출 상태를 관찰한다.
    • 필요 시 추가로 방광을 비운 후 잔뇨 촬영을 진행할 수도 있다.
  4. 검사 후 관리
    • 검사 종료 후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하여 조영제가 신속히 배출되도록 한다.
    • 조영제 부작용(두드러기, 호흡 곤란, 쇼크 등)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알린다.
    • 검사 후 특별한 이상이 없으면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5. 검사 시 유의사항

  1. 조영제 알레르기 반응: 과거 조영제 반응 경험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진에게 알린다.
  2. 신장 기능 저하 환자 주의: 신부전 환자는 조영제 사용이 제한될 수 있으며, 대체 검사(초음파, MRI 등)를 고려할 수 있다.
  3. 당뇨병 치료제 복용자 주의: 메트포르민(Metformin) 복용자는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이 있으므로 검사 전후 일시적으로 복용을 중단해야 할 수 있다.

6. 검사 결과 해석

  1. 정상 소견: 조영제가 신장, 요관, 방광을 따라 원활하게 배출되며, 기형이나 폐색이 없는 경우.
  2. 이상 소견
    • 요로결석: 요관 내 조영제 흐름이 차단되는 부위가 관찰됨.
    • 종양 및 협착: 신장이나 요관, 방광 내 이상 구조가 확인됨.
    • 요로 감염: 신우신염 등의 감염성 질환에서 신장의 조영제 분포가 비대칭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
    • 기형: 선천성 신장 기형, 이중 요관, 방광 구조 이상 등이 확인될 수 있음.

7. 대체 검사 방법

  • 신장 초음파: 방사선 피폭 없이 신장 크기 및 결석 유무 확인 가능
  • CT 요로조영술(CT Urography): 보다 정밀한 영상이 필요할 때 사용됨
  • MRI 요로조영술: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우려되는 환자에서 대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