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방광 조영술(Cystography)은 방광 내부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 X-ray 또는 CT 촬영을 통해 방광의 형태 및 기능 이상을 평가하는 방사선 검사이다. 방광 파열, 방광루, 방광종양, 요로 감염, 신경인성 방광 등의 진단에 유용하다.
2. 검사 원리
방광 내에 조영제를 직접 주입하여 방광의 구조적 이상과 기능적 장애를 평가하는 방식이다. 조영제는 X-ray 촬영 시 방광의 내부 구조를 명확하게 보여주며, 소변이 역류하는지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3. 검사 준비
- 검사 전 금식: 검사 전 4~6시간 동안 금식을 권장할 수 있음.
- 요로 감염 여부 확인: 기존 요로 감염이 있는 경우 검사 전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 알레르기 검사: 조영제 사용으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 여부를 확인함.
- 소변 배출 여부 확인: 도뇨관 삽입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지시에 따름.
4. 검사 과정
- 방광 도뇨관 삽입
- 환자는 검사대에 누운 상태에서 의료진이 도뇨관을 삽입함.
- 조영제 주입
- 방광 내로 조영제를 천천히 주입하여 방광을 채움.
- X-ray 촬영
- 조영제가 방광 내부에 고르게 퍼진 후 여러 방향에서 X-ray 촬영을 시행함.
- 필요 시 배뇨 중 방광의 변화를 관찰하는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VCUG)을 시행할 수도 있음.
5. 검사 후 관리
-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조영제 배출을 촉진함.
- 검사 후 소변에서 혈뇨가 나타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정상으로 회복됨.
- 배뇨 시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지속될 경우 의료진과 상담이 필요함.
6. 검사 결과 해석
정상 소견
- 방광이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며 조영제가 균일하게 분포됨.
이상 소견
- 방광 파열: 조영제가 방광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관찰됨.
- 방광루: 방광과 다른 장기(예: 질, 직장) 사이의 비정상적인 연결이 확인됨.
- 방광종양: 방광 내 비정상적인 종괴가 발견될 수 있음.
- 신경인성 방광: 방광의 수축 이상이 확인될 수 있음.
- 역류성 신우신염(VUR): 소변이 요관을 통해 신장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관찰됨.
7. 대체 검사 방법
- 초음파: 방광 벽의 두께 및 종양 유무 확인 가능
- CT 방광조영술: 보다 정밀한 영상이 필요할 때 사용됨
- MRI: 조영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대체 가능
8. 결론
방광 조영술은 방광의 구조적 및 기능적 이상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이다. 검사 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통해 조영제 배출을 돕고, 이상 증상이 지속되면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튼튼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신혈관 조영 검사(Adrenal Arteriography) 방법 및 결과 해석 (0) | 2025.02.06 |
---|---|
역행성 신우조영술(Retrograde Pyelography) 검사 방법 및 해석 (0) | 2025.02.05 |
배설성 요로조영 검사(IVP, Intravenous Pyelography) 검사 방법 및 해석 (1) | 2025.02.05 |
귀두포피염 증상 및 치료 (0) | 2025.02.03 |
배뇨 증상에 따른 의미 및 치료, 진단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