튼튼정보

부신혈관 조영 검사(Adrenal Arteriography) 방법 및 결과 해석

strongdori 2025. 2. 6. 02:00

 

출처 서울대학교병원

1. 개요

부신혈관 조영 검사(Adrenal Arteriography)는 부신동맥(Adrenal Artery) 및 관련 혈관을 조영하여 부신의 혈류 상태와 혈관 이상 여부를 평가하는 혈관 조영술이다. 주로 부신종양(갈색세포종, 부신피질 증식증), 부신 출혈, 부신 혈관 기형 등을 진단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된다.

2. 검사 원리

대퇴동맥(Femoral Artery) 또는 요골동맥(Radial Artery)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한 후, 조영제를 주입하여 부신혈관의 형태 및 혈류 상태를 평가한다. X-ray, CT 또는 MRI를 이용하여 조영제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관찰함으로써 혈관 협착, 폐색, 동맥류 등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3. 검사 준비

  1. 금식: 검사 6~8시간 전부터 금식이 필요함.
  2. 항응고제 중단: 혈전 형성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항응고제 복용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 시 중단.
  3. 신장 기능 검사: 조영제 배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전 신장 기능 검사가 필요함.
  4. 조영제 알레르기 확인: 과거 조영제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경우 대비책 마련 필요.
  5. 정맥로 확보: 검사 중 응급 상황에 대비하여 정맥로를 확보함.

4. 검사 과정

  1. 카테터 삽입
    • 국소 마취 후 대퇴동맥(Femoral Artery) 또는 요골동맥(Radial Artery)에 도관을 삽입.
  2. 카테터 부신동맥으로 유도
    • 형광 투시 장치(Fluoroscopy)를 이용하여 카테터를 부신동맥까지 이동.
  3. 조영제 주입 및 촬영
    •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X-ray 또는 CT를 통해 혈관의 형태 및 혈류 상태를 촬영.
  4. 카테터 제거 및 지혈
    • 촬영이 끝난 후 카테터를 제거하고 지혈을 시행.

5. 검사 후 관리

  1. 절대 안정 유지: 카테터 삽입 부위의 출혈 방지를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절대 안정 유지.
  2. 수분 섭취: 조영제 배출을 돕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 권장.
  3. 출혈 및 혈종 확인: 삽입 부위 출혈, 혈종 발생 여부를 관찰.
  4. 신장 기능 모니터링: 조영제 사용 후 신장 기능 악화 여부를 확인.

6. 검사 결과 해석

정상 소견

  • 부신동맥이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며 혈류가 원활하게 흐름.

이상 소견

  • 동맥 협착: 부신동맥이 좁아져 혈류가 감소하는 소견.
  • 동맥 폐색: 혈전 또는 동맥경화로 인해 혈관이 막혀 있음.
  • 부신 동맥류: 동맥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확장되어 있는 경우.
  • 부신 출혈: 외상 또는 종양으로 인해 조영제가 혈관 외부로 유출됨.
  • 혈관 기형: 선천성 또는 후천성 혈관 기형이 관찰됨.
  • 종양 관련 혈관 이상: 갈색세포종 등의 종양에서 혈관 신생(angiogenesis)이 확인됨.

7. 대체 검사 방법

  • 초음파(Doppler Ultrasound): 부신 혈류를 비침습적으로 평가 가능.
  • CT 혈관조영술(CTA): 보다 정밀한 혈관 평가를 위한 대체 방법.
  • MRI 혈관조영술(MRA): 조영제 사용이 어려운 경우 대체 가능.

8. 결론

부신혈관 조영 검사는 부신 혈관 질환을 정밀하게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이다. 검사 후 지혈 및 안정 유지가 필요하며, 조영제 배출을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가 권장된다.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치료(혈관 성형술, 색전술 등)가 필요할 수 있다.